Search

혈흔 노출 기준

작품 생성 정책: 혈흔 노출 기준

1. 아티클 소개

본 아티클에서는 작품 생성 시 혈흔 노출 기준을 안내합니다.
정책을 준수하면 불필요한 조치를 예방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한 확인이 필요하시다면 예시 이미지 토대로 고객센터로 문의를 부탁 드립니다.

2. 혈흔 정책 요약

항목
세이프티 허용 범위
언세이프티 허용 범위
프로필
경미한 혈흔
경미한 혈흔
상황 이미지
경미한 혈흔
과도하지 않은 혈흔

3. 프로필 이미지 허용 범위

1) 세이프티/언세이프티 공통

<준수 사례>
준수 (미세한 혈흔)
캐릭터의 감정이나 상황을 강조하기 위해 소량의 혈흔이 보조적으로 표현된 경우는 허용됩니다. (예: 얼굴이나 옷에 약간 묻은 혈흔, 드라마적 연출 수준)
미준수 (다량의 혈흔)
이미지 전면에 피가 대량으로 묘사되거나, 상처·자해·사망 등을 직접적으로 연상시키는 과도한 혈흔 표현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예: 얼굴과 목을 따라 흐르는 대량의 피, 고통 장면 강조)

4. 상황별 이미지 허용 범위

1) 세이프티

<준수 사례>
준수 (미세한 혈흔)
캐릭터의 감정이나 상황을 강조하기 위해 소량의 혈흔이 보조적으로 표현된 경우는 허용됩니다. (예: 얼굴이나 옷에 약간 묻은 혈흔, 드라마적 연출 수준)
미준수 (다량의 혈흔)
이미지 전면에 피가 대량으로 묘사되거나, 상처·자해·사망 등을 직접적으로 연상시키는 과도한 혈흔 표현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예: 얼굴과 목을 따라 흐르는 대량의 피, 고통 장면 강조)

2) 언세이프티

<준수 사례>
언세이프티 캐릭터의 경우 신체 절단, 고문, 살해 등 잔인한 행위가 극도로 현실적이고 상세하거나 노골적으로 묘사하는 이미지를 활용해 타인에게 혐오감, 불쾌함을 유발하는 경우에는 수정이 필요합니다.

5. FAQ

Q. 피가 캐릭터의 몸 전체를 덮거나, 바닥에 고여 있는 장면은 가능한가요?
과도한 혈흔이나 대량의 피가 묘사된 장면은 제한됩니다.
Q2. 자해 장면처럼 피가 목이나 손목에서 흐르는 표현은 허용되나요?
자해·자살을 연상시키는 과도한 혈흔 표현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Q3. 흑백으로 표현된 피나 색감을 줄인 피는 허용되나요?
색감이 완화되었더라도, 과도한 유혈이나 자해·사망 연상을 주는 경우는 제한됩니다.
정책을 준수하며 캐릭터를 제작하면 안전하고 쾌적한 제작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궁금한 사항은 고객센터 문의 또는 운영 정책 메뉴를 활용해주세요.